서용규 광주광역시의원,“제1하수처리장 개량·제2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 사업 추진, 지지부진”
검색 입력폼
 
광주광역시

서용규 광주광역시의원,“제1하수처리장 개량·제2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 사업 추진, 지지부진”

제1하수처리장개량 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의 착수, 정지만 4차례 반복 중

서용규 광주광역시의원,“제1하수처리장 개량·제2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 사업 추진, 지지부진”
[뉴스앤저널]광주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제1·2하수처리장의 개량 및 에너지자립화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 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0일, 광주시의회 환경복지위원회 소속 서용규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기후환경국 업무보고에서 “제1하수처리장 개량사업과 제2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사업이 장기간 지연되고 있어 재정립도 검토해야 한다”며 사업추진의 미흡한 부분을 질타했다.

‘제1하수처리장 개량사업’은 영산강상류 단위유역 유역하수도 정비계획의 일환으로 제1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 강화(TN 20→10mg/L)에 따른 시설 개량 사업으로 ’21년-’28년에 걸쳐 총 사업비 1,333억 6,800만원(국비 30%,시비70%)이 투입되고 있는 사업이다.

서용규 시의원은 “현재까지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의 착수·일시정지만 4차례 반복중이다”며,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 및 관계기관과의 협의 등 환경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미흡해서 지연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제2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사업’은 하수찌꺼기와 음식물류폐기물의 병합처리를 통한 슬러지 감량 및 바이오가스 증산·활용으로 에너지자립율 제고를 위해 ’18년-’27년까지 국비 116억원을 포함한 394억원을 투입하여 광산구 유계동에 설치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이 사업의 최초 계획은 기존 제1음식물자원화시설을 폐쇄하고, 일 150톤의 음식물전처리시설을 신설하여 추진했으나, ’20년도에 기존시설 기술진단을 통해 확충(70톤/일)하는 것으로 기본계획을 변경 추진함에 따라 많은 기간이 소요 되었다는 입장이다.

이에 서용규 시의원은 “예상할 수 있는 변화들에 대하여 대응을 제 때에 하지 못했는지”와, “국비 사업의 무조건 추진이라는 관념을 버리고, 시 재정이 어려운 만큼 추진이 어렵거나 실효성이 적은 사업이라는 판단 시에 용역 단계에서 사업중단도 검토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서용규 시의원은 “1하수처리장의 경우 총예산 중 시비가 930억원이나 투입되는 사업으로, 재정립해서 반드시 해야 되는 사업이라면 적극행정을 펼쳐야 된다”며, “제2하수처리장 사업의 경우도 ’18년도부터 추진된 사업인데 현재 설계 용역 중단 상황으로 추진이 어려울 경우 과감히 사업중단도 검토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팀 news@newsjournal.co.kr
광주광역시 주요뉴스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