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암 통합돌봄에 응급대응, 안전망 구축 시급 |
6일 영암군이 가야금산조기념관에서 ‘영암형 통합돌봄 체계 구축 실태조사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는 영암군민이 살고 있는 곳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받으며 자립 생활을 유지하도록 ‘영암형 통합돌봄 모델’을 구축하고, 2026년 3월로 예정된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을 영암군이 선도한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보고회에서는 영암형 모델 구축의 전단계로, 전남사회서비스원이 조사한 실태조사가 발표됐다.
2024,10.29-2025.2.28일 기간, 지역 75세 이상 어르신과 등록장애인 700여 명을 대상으로, 자립 생활을 위해 필요한 욕구 및 지원 사항 등을 설문, 심층 인터뷰로 조사한 내용이었다.
실태조사 결과 어르신들은 집에서 계속 거주하기 위해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서비스로 △응급발생시 구조연계지원 △이동지원 △가족부재시 돌봄 △정기적 안부 확인 등을 꼽았다.
장애인들은 같은 항목에 ▲응급발생시 구조연계지원 ▲주기적 건강검진 ▲이동지원 ▲주기적 치과 치료 ▲맞춤형 영양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밖에도 전남사회서비스원은 만성질환 보유 노인·장애인 비율이 높은 상황을 알리고, ◇의료접근성 제고 및 이동지원 ◇정서적 돌봄 및 정신건강 지원 ◇돌봄의 다양성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위해 올해 통합돌봄추진단을 신설한 영암군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 등을 반영해 영암형 통합돌봄 모델을 구축하고, 통합돌봄지원단을 콘트롤타워로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통합돌봄을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