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의회, 여수 묘도 기회발전 특구에 양식장이 웬 말? “신성장 산업 유치해야”
검색 입력폼
 
여수

여수시의회, 여수 묘도 기회발전 특구에 양식장이 웬 말? “신성장 산업 유치해야”

제243회 임시회 마지막 본회의 5분 발언서 강조

송하진 여수시의원(무소속, 미평‧만덕‧삼일‧묘도)
[뉴스앤저널]여수 묘도를 광양만권 신성장 차세대 에너지 산업 유치를 위한 기회의 땅으로 만들기 위해 지역사회가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다.

송하진 여수시의원(무소속, 미평‧만덕‧삼일‧묘도)은 18일 열린 제243회 임시회 마지막 본회의 5분 자유 발언을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송 의원은 “기회발전 특구로 지정돼 첨단 산업 유치를 눈앞에 두고 있는 묘도는 지형적으로 굴지 산업도시인 여수와 광양을 잇는 지리학적 요충지로 산업 물자의 원활한 수송 및 전진기지로 역할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산업‧경제 전진기지로 역할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천문학적 비용이 투자돼 국내 최대의 LNG 허브터미널 건설로 침체된 여수산단 석유화학산업 불황 해소와 초토화된 지역 경제 회복에도 단비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송 의원은 “묘도는 이제 LNG 산업뿐만 아니라 수소,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 저탄소 산업의 생산기지가 될 수 있도록 기회의 땅이 돼야 한다”면서 “쇠락 일로에 놓인 석유화학산업을 대체해 새 동력 산업을 유치하고, 불 꺼진 지역경제를 되살릴 수 있는 대안이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송 의원에 따르면 일부 정치권에서는 기회의 땅인 묘도 기회발전 특구에 양식장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워 논란이 되고 있다.

일부 정치권에서 여수시에 접수한 ‘친환경 전략 품종 양식 단지 조성 사업 계획’에 따르면 오는 2027년까지 묘도 기회발전 특구 16만5,000㎡에 국비‧지방비‧민간투자 등 200억원을 들여 스마트팜과 양식장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LNG발전소 폐열 에너지를 이용해 양식장을 운영한다는 구상이지만 여수시의 검토 결과 약 5만평에 달하는 부지 매입 비용 자체가 시 재정에 큰 부담이 돼 부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해당 지역은 해양오염이 빈번하고 적조 발생 우심 해역으로 재해 피해 우려가 크고, 수심이 낮아 수질이 혼탁한 데다 수온 변화의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지 면적이 좁아서 양식 어류의 사육밀도가 매우 높을 수밖에 없고, 생산되는 양식어류의 품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 양식 단지 조성이 매우 부적합하다는 분석이다.

송 의원은 “묘도 친환경에너지 집적 단지에 양식 어장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은 시대착오적 발상”이라며 “오히려 지역사회에서 미래 성장 산업인 해상풍력 배후 산업단지로 개발해 달라는 요구가 더더욱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율촌 현대스틸산업의 경우 해상풍력 하부 기초 조립 공장 부지를 찾지 못해 사업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묘도 기회발전 특구를 해상풍력 전용 항만과 해상 풍력발전 플랜트와 각종 구조물 조립을 위한 배후단지로 조성한다면 다수 기업을 유치할 수 있고 생태계 조성을 통해 해상풍력 산업 클러스터가 조성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묘도 기회발전 특구가 특정 집단의 이해관계 속에 한 번 써먹고 마는 일회용품이 돼선 안 될 것”이라며 “진정한 여수 미래 100년을 위한 친환경 신성장 산업의 중심으로 탄생할 수 있도록 지역 정치권이 정신 차리고 따끔한 충고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송 의원은 끝으로 “묘도가 정치권의 사리사욕에 이용돼선 안 될 것”이라며 “미래세대를 위한 차세대 신산업이 유치될 수 있도록 시 집행부와 지역경제계가 적극 나서서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팀 news@newsjournal.co.kr

오늘의 인기기사